자연

살아지구의 자연 주제의 모아서 볼 수 있습니다. 사라지는 자연, 자연을 살려내는 방법 등을 취재합니다.
법적 공백 '발전소 온배수'...이재명 대통령 "점검 필요"
자연 / 현장

법적 공백 '발전소 온배수'...이재명 대통령 "점검 필요"

이재명 대통령은 발전소 온배수 문제와 관련, "배출 온도와 배출 물질에 대한 규제가 필요할 것 같다"고 밝혔다. 값싸고 효율적인 전력 생산을 위해 해수를 냉각수로 사용하고, 설비 보호를 위해 염소계 화학물질을 투입하는 발전소 운영 방식에 제동이 걸릴 지 주목된다. 이 대통령은 11일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발전소 냉각수에 사용되는 화학물질
읽는 데 5분
발전소 배출 물질 추적➂ 총염소 조사는 왜 빠졌나
자연 / 탐사보도

발전소 배출 물질 추적➂ 총염소 조사는 왜 빠졌나

이번 취재는 무심코 나온 어민의 한마디에서 시작했다. “갯바위에 굴이 사라졌다.” 핵발전소든 화력발전소든 가동하려면 냉각을 위해 뜨겁게 데운 바닷물 즉, 온배수를 내보낸다. 온배수 방류로 부산 기장, 전남 영광, 충남 서산, 인천 등에서 해양 생태계 변화와 파괴, 어민들의 피해로 이어졌다.  지금까지 온배수가 일으킨 각종 문제는 ‘열’에만 한정해 조사했다. 그런데 ‘열’이
읽는 데 19분
발전소 배출 물질 추적② 굴을 녹이는 건 '온도'가 아니었다
자연 / 탐사보도

발전소 배출 물질 추적② 굴을 녹이는 건 '온도'가 아니었다

이번 취재는 무심코 나온 어민의 한마디에서 시작했다. “갯바위에 굴이 사라졌다.” 핵발전소든 화력발전소든 가동하려면 냉각을 위해 뜨겁게 데운 바닷물 즉, 온배수를 내보낸다. 온배수 방류로 부산 기장, 전남 영광, 충남 서산, 인천 등에서 해양 생태계 변화와 파괴, 어민들의 피해로 이어졌다.  지금까지 온배수가 일으킨 각종 문제를 ‘열’에만 한정해 조사했을 뿐이다. 그런데 ‘열’
읽는 데 19분
발전소 배출 물질 추적➀ 생명이 사라진 갯바위
자연 / 탐사보도

발전소 배출 물질 추적➀ 생명이 사라진 갯바위

이번 취재는 무심코 나온 어민의 한마디에서 시작했다. “갯바위에 굴이 사라졌다.” 핵발전소든 화력발전소든 가동하려면 냉각을 위해 뜨겁게 데운 바닷물 즉, 온배수를 내보낸다. 온배수 방류로 부산 기장, 전남 영광, 충남 서산, 인천 등에서 해양 생태계 변화와 파괴, 어민들의 피해로 이어졌다.  지금까지 온배수가 일으킨 각종 문제를 ‘열’에만 한정해 조사했을 뿐이다. 그런데 ‘열’
읽는 데 14분
연안침식 방지 위한 공사가 또 다른 침식을 낳다
자연 / 현장

연안침식 방지 위한 공사가 또 다른 침식을 낳다

강원도 삼척시 원평해변 바로 앞에 있는 매원리 마을은 2020년 2월 날벼락 같은 일이 닥쳤다. 큰 파도가 닥치면서 마을과 해안에서 오는 파도를 막아주는 소나무밭 3분의 1이 깎여 나간 것이다.  이 침식으로 해안을 따라 성업 중이던 펜션들도 초비상이 됐고, 이 지역 명물인 레일바이크의 철로도 무너져 멈춰 섰다. 다음에는 더 큰 파도가 마을을
읽는 데 11분
청양 지천댐 : 근거 없는 기후대응
자연 / 탐사보도

청양 지천댐 : 근거 없는 기후대응

“대대로 이어온 지역 공동체를 파괴하고 삶터를 뺏고, 생태환경 자원을 뺏어가면서 그 대가로 출렁다리, 짚라인, 스마트팜 만들어 줄테니 댐에 찬성하라고 한다.” 지난 4월 9일, 김명숙 지천댐반대대책위원회 위원장은 충남 청양군 청양문화예술회관에서 열린 ‘금강유역 물관리의 현안과 미래 비전’ 토론회에서 이처럼 말했다. 김 위원장은 청양군에서 지천댐 건설을 반대하는 주민을 대표하고 있다. 청양군 지천댐 추진은
읽는 데 18분
환경영향평가 없이 강바닥 파헤치는 준설
자연 / 현장

환경영향평가 없이 강바닥 파헤치는 준설

대전광역시가 지난해 12월부터 대대적인 하천공사를 벌였다. 대전광역시는 대전시 3대 하천인 대전천, 갑천, 유등천 주변을 홍수로부터 보호하겠다는 목적으로 하천공사를 시작했다. 공사의 주 내용은 강 바닥에 있는 흙과 자갈 등을 퍼내 깊숙하게 만드는 준설이다. 준설은 강에서 물이 흐르는 공간을 넓히기 때문에 모래나 흙이 자주 쌓이는 일부 구간에서는 홍수 피해 예방에 단기적인 효과가
읽는 데 12분
멀쩡한 갯벌 공사, 블루카본이 도요를 내쫓을 때
자연 / 현장

멀쩡한 갯벌 공사, 블루카본이 도요를 내쫓을 때

갯벌을 복원하겠다는 해양환경공단이 오히려 갯벌을 흙으로 메꾸고 바닷물이 들어오지 못하게 방조제를 설치했다. 경기 화성시 매향리에 위치한 갯벌에 식물을 심고 방조제를 설치하는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해양수산부 산하 해양환경공단이 사업 주체로, 자동차 기업 기아와 함께 추진한다. 공사비는 입찰공고 기준 24억 원이며 총 사업비는 40억 원으로 알려졌다.  ‘기아 블루카본 협력사업’이라는 프로젝트를 통해
읽는 데 10분
녹색비둘기에 돌 던지는 사람들과 지키는 사람들
자연 / 분석

녹색비둘기에 돌 던지는 사람들과 지키는 사람들

화제를 모았던 울산 녹색비둘기를 촬영하려는 욕심에 새를 해칠 만한 행위가 벌어져 조치가 이뤄졌다. 울산광역시는 울산대공원 내 녹색비둘기 촬영을 위해 세트장을 설치하는 등의 행위를 자제하도록 하고 있다고 27일 <살아지구>에 밝혔다. 앞서 2월 중순부터 울산광역시 남구에 위치한 울산대공원에 한국에서는 흔히 볼 수 없는 녹색비둘기가 출현해 화제를 모았다. 조류 애호가
읽는 데 4분
가장 뜨거웠던 2024년 한국 바다에서 일어난 일
/ 자연

가장 뜨거웠던 2024년 한국 바다에서 일어난 일

지난해 한국 바다는 고수온 현상을 겪었다. 국립수산과학원은 지난 22일 보도자료를 내고, 2024년 한국 바다가 관측한 이래 가장 뜨거웠다고 밝혔다. 과학원 측은 과학조사선 관측을 통해 2024년 한국 바다의 연평균 표층수온이 18.74℃로 최근 57년간(1968~2024) 관측한 수온 중 가장 높았다고 설명했다. 표층수온은 바다 표면에 가까운 바닷물 온도를 의미하며, 수온 관측에 쓰인다.
읽는 데 8분
그물이 앗아가는 바닷새들의 목숨 : 포항 임곡항에서
자연 / 현장

그물이 앗아가는 바닷새들의 목숨 : 포항 임곡항에서

2025년 1월 12일 일요일 낮 포항시 남구 임곡항 바다는 평온해 보였다. 한쪽에는 오징어 그물을 정리하는 어민 부부가, 다른 한쪽에서는 다음 날 새벽 출항을 준비하는 외국인 선원 2명만이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었다. 바람이 많이 부는 날이었지만 항구는 파도의 영향을 많이 받지 않았다. 멈춰 있는 배와 각종 쓰레기가 너울거릴 뿐이었다. 플라스틱 요구르트 병,
읽는 데 9분
기장군 ‘큰 공장’이 가져온 변화
자연 / 분석

기장군 ‘큰 공장’이 가져온 변화

지금은 부산시 기장군으로 편입된 곳, 경상남도 양산군이던 1978년 봉수마을(현재 고리) 해안가에 ‘큰 공장’ 하나가 들어섰다. 처음에 주민들은 마을에 ‘큰 공장’이 생기고, 동네가 발전할 거라고 믿었다. 당시만 해도 그 ‘큰 공장’이 매년 뜨겁게 데워진 바닷물을 수억 톤씩 쏟아내며, 인근 바다를 조용히 변화시킬 것이라고는 누구도 알려주지 않았다. 변화를 제일
읽는 데 13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