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News

구구구 프로젝트 소개
구구구 프로젝트 /

구구구 프로젝트 소개

기후·생태 비영리 독립언론 살아지구는 현재의 미디어 상황이 우리가 기후위기나 생태위기를 제대로 인식하고 있지 못하게 하고 있다는 의식에서 시작했습니다. 우리 세대가 앞으로 살아가면서 선택을 할 때 제대로 된 정보를 바탕으로 의사결정을 하도록 언론으로서 역할을 하기 위해 창간했습니다. 특히 과학을 중요하게 생각한 건 과학적 근거에서 동떨어진 정책, 의사결정이 곳곳에서 벌어지기 때문입니다.
읽는 데 5분
인류세 : 우리는 어떤 시대에서 살고 있는가
대안 / 구구구 프로젝트

인류세 : 우리는 어떤 시대에서 살고 있는가

편집자 주 - 살아지구는 ‘구구구 프로젝트’를 시작합니다. 구구구 프로젝트는 ‘연구가 지구를 구한다’의 줄임말입니다. 연구가 지구를 구한다는 건 어떤 의미일까요.  살아지구가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목표인 ‘모든 생명이 더 살기 나은 세상’은 지금의 제도만 잘 지키거나, 인간과 지구의 관계를 유지한다고 만들 수 없습니다. 학문이 새롭게 발견한 새로운 사실을 기반으로 우리
읽는 데 14분
아이들은 1년 중 며칠이나 미세먼지 '건강위험'에 노출됐나
사람 / 탐사보도

아이들은 1년 중 며칠이나 미세먼지 '건강위험'에 노출됐나

숨의 격차, 미세먼지 속 아이들 #2 시시각각 변하는 미세먼지 수치보다 중요한 건 ‘일평균 수치’다 대다수 사람은 현재 시각으로 그때그때의 미세먼지 수치에 관심이 많지만, 그 못지않게 유념해야 할 수치는 ’일평균’으로 집계한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수치다. 하루 24시간 동안 미세먼지가 어느 정도인지 평균값을 알려주는 수치다.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 수치를 1시간 단위의 정보가
읽는 데 8분
30년의 버팀과 2주의 희망 그리고 기약없는 기다림
사람 / 탐사보도

30년의 버팀과 2주의 희망 그리고 기약없는 기다림

기장 어민들은 한수원이 1978년 고리핵발전소 운영하면서 배출하기 시작한 온배수로 인해 미역 양식장을 운영할 수 있는 환경이 악화되고, 해녀들이 채취할 수산물이 사라졌다며 보상을 요구해 왔다. 이번 재판에서 기장 어민들이 청구한 보상금은 20년 전 한수원이 보상을 약속했던 금액과 해당 기간 이자를 더한 금액이었지만, 재판부는 이자를 뺀 원금만 인정했다. 비록 재판부가 당초 청구 금액을 다 받아 준 것은 아니나, 인고 끝에 얻어낸 승소다.
읽는 데 16분
미세먼지 속 아이들은 정확한 미세먼지 정보를 받고 있을까
사람 / 탐사보도

미세먼지 속 아이들은 정확한 미세먼지 정보를 받고 있을까

기후와 생태를 전문으로 하는 비영리 탐사 독립언론 <살아지구>는 오늘부터 창간 특집이자, 첫 번째 탐사 기획으로 “숨의 격차, 미세먼지 속 아이들”을 시작합니다. <살아지구>는 ‘독립언론 100개 만들기’를 기치로 뉴스타파와 뉴스타파함께재단이 공동 운영 중인 ‘뉴스타파저널리즘스쿨’이 배출한 네 번째 독립언론입니다.  뉴스타파와 협업한 이번 프로젝트는 ‘정부가
읽는 데 11분
<숨의 격차, 미세먼지 속 아이들>을 시작하며
사람 / 탐사보도

<숨의 격차, 미세먼지 속 아이들>을 시작하며

‘그러려니 하는’ 일상이 된 고질 : 미세먼지   이제 미세먼지는 ‘그러려니 하고 몸에 달고 사는’ 일상의 고질이 됐다. 나 혹은 가족을 불안하게 하고 삶을 위협하지만, 개별적 행동만으로는 고쳐질리 없고 극적인 변화도 가져오기 어렵다. 모두가 태산같이 걱정하지만, 적극적 움직임은 일어나지 않는 이유다. 그래서 미세먼지는 다른 환경 문제의 대응과 닮아 있다.  카이스트 인류세연구센터 전치형
읽는 데 7분
기장군 ‘큰 공장’과 해녀, 어민들
사람 / 탐사보도

기장군 ‘큰 공장’과 해녀, 어민들

기장 바다의 수온 증가, 식물성 플랑크톤 감소, 어류의 감소는 어민들에게 피해로 연결된다. 수온 상승은 기존에 살던 해조류가 자라기 어려운 환경을 만들고, 해조류를 먹는 성게나 멍게의 개체수에도 영향을 준다. 또한 식물성 플랑크톤의 감소는 어류가 덜 찾아오는 바다로 만든다. 이렇듯 기장 바다의 변화는 해녀 말고도 미역 양식, 육상 양어장, 어선을 이용한 고기잡이에도
읽는 데 13분
기장군 ‘큰 공장’이 가져온 변화
자연 / 분석

기장군 ‘큰 공장’이 가져온 변화

지금은 부산시 기장군으로 편입된 곳, 경상남도 양산군이던 1978년 봉수마을(현재 고리) 해안가에 ‘큰 공장’ 하나가 들어섰다. 처음에 주민들은 마을에 ‘큰 공장’이 생기고, 동네가 발전할 거라고 믿었다. 당시만 해도 그 ‘큰 공장’이 매년 뜨겁게 데워진 바닷물을 수억 톤씩 쏟아내며, 인근 바다를 조용히 변화시킬 것이라고는 누구도 알려주지 않았다. 변화를 제일
읽는 데 13분
'처서매직'에 걸었던 기대, 기후변화로 모호해진 절기
자연 / 분석

'처서매직'에 걸었던 기대, 기후변화로 모호해진 절기

2024년 여름, 주변에 기후변화를 온몸으로 느꼈다는 이가 많았다. 8월 마지막 주, 많은 사람이 두 손 모아 22일을 기다렸다. 그날은 24절기 중 하나인 ‘처서(處暑)’인데, ‘처서매직’ 이라는 표현이 유행이었다. 처서는 ‘더위가 그친다’는 뜻이고, 기후 데이터에도 처서부터는 기온이 떨어질거라 보였다. 기대와 달리 올해 8월 말까지 ‘처서매직’은 없었다. 오히려 추석이
읽는 데 4분